- 가톨릭뉴스
- 전체 2건
기해·병오박해 순교자 79위 시복 100주년…성 김대건 신부 외 3위 유해 공개 | 2025-07-02 |
---|---|
![]() 주교회의·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가 7월 2일 기해·병오박해 순교자 79위의 시복 100주년을 맞아 성 앵베르 주교와 성 모방 신부, 성 샤스탕 신부(이상 기해박해 순교자), 성 김대건 신부(병오박해 순교자)의 유해가 함께 모셔진 유해함과 유해 증명서를 공개했다. ![]()
1845년 8월 17일 중국 상하이의 진쟈상[金家巷] 성당에서 한국인 최초의 사제로 서품된 김대건 신부는 외국인 성직자의 입국로를 개척하는 과정에서 1846년 6월 백령도 해역 순위도에서 체포됐고, 옥중에서도 서한을 통해 신자들을 격려하는 등 헌신적으로 사목했으나 사제 수품 1년여 만인 1846년 9월 16일에 한강 새남터에서 순교했다. 네 명의 사제는 1925년 7월 5일 비오 11세 교황에 의해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시복됐으며, 이후 1984년 5월 6일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서울 여의도에서 시성됐다. 성인과 복자의 몸이나 그 몸의 주요 일부, 또는 화장하고 난 유골 전체가 ‘중요한 유해’로 인정되며, 유해는 적절한 유해함에 봉인하여 보관해야 하고, 안전하고 거룩하며 경배가 용이한 장소에 모셔야 한다[교황청 시성성 훈령 「교회의 유해: 진정성과 보존」(Le Reliquie nella Chiesa: Autenticit? e Conservazione), 2017.12.8., 서론 참조]. 교회는 ‘유해의 진정성에 관한 증명서를 마련하도록’(「교회의 유해: 진정성과 보존」, 제23조 참조), 또한, ‘거룩한 유해를 매매할 수 없도록’(교회법 제1190조 제1항 참조) 규정하고 있다. 한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는 문화체육관광부를 통해 국고 보조금을 지원받아 2017년부터 ‘한국천주교사료목록화사업’을 추진중이다. 10개년 사업으로 진행되는 이 사업은 2026년 말에 일단락될 예정이며, 사업 마무리 단계에서는 이번에 공개된 사료를 포함해 1784년부터 1962년까지 생산된 한국 천주교회 관련 사료들을 ‘한국 천주교 사료 디지털 아카이브’(가칭)를 통해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이주연 기자 miki@catimes.kr |
|
[가톨릭신문 2025-07-02 오전 11:32:05 일 발행 ] |